본문 바로가기
2009.06.12 03:56

피죽새

조회 수 965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죽새

짐승이름

“바위 암상에 다람이 기고 시내 계변에 금자라 긴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며, 함박꽃에 벌이 와서 몸은 둥글고 발은 작으니 제 몸에 못 이겨 동풍이 건듯 불 때마다, 이리로 접두적 저리로 접두적, 너흘너흘 춤을 추니 긘들 아니 경일러냐.”(백구사)

 자연을 즐기던 선인들의 흥이 녹아든 노래다. 조팝나무에 ‘피죽새’ 소리가 나온다. 피죽도 먹지 못한 양 힘없이 운다고 피죽새란다. 하필이면 조팝나무에. 조밥(조팝)이라도 실컷 먹었으면 원이 없어서인가. 피죽은 뭔가? 피로 쑨 죽이다. 피는 논에 나는 잡풀로서 씨앗은 새의 먹이로 쓰이고 흉년이 들었을 때는 사람이 먹기도 한다. 고려 때 <계림유사>에 보면 사람들은 피쌀 곧 패미(稗米)로 짓는 피밥이나 죽을 먹었고, 쌀은 나라에서 정한 대로 관혼상제 같은 특별한 일이 있을 때나 먹도록 했다. 그러니 피죽 한 그릇도 못 얻어먹은 사람 같다는 말이 생겼을 법하다.

 피죽새는 흔히 밤꾀꼬리(夜鶯)라고도 이른다. 밤이 되면 배고픈 사람처럼 구슬피 운다고 한다. 야래향(夜來香)이 피면 밤꾀꼬리가 운다. “남풍이 시원하게 불어오고/ 밤꾀꼬리는 구슬피 웁니다./ 오직 야래향만이 향기를 내뿜습니다./ 나는 아득한 밤의 어둠을 사랑하고/ 밤 꾀꼬리의 노래도 사랑하지만/ 꽃 같은 꿈은 더더욱 사랑합니다.” 피죽새 우는 봄밤을 누구와 함께 깊은 속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832
3238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539
323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39
3236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44
323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45
3234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45
3233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45
323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45
3231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46
323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49
3229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51
322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52
3227 순직 風文 2022.02.01 1552
3226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53
322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53
322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56
322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57
3222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58
3221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59
3220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59
321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64
3218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64
3217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