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1 02:59

귀성

조회 수 1060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성

외래어

많은 이들이 한꺼번에 움직이니까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길은 으레 막히고 밀리기 마련이었는데, 눈이 많이 온 지난 설에는 특히나 고생스러웠다. 서울에서 그리 멀지 않은 서해대교를 건너는 데 15시간이 넘게 걸렸을 정도니 말이다. 이웃 중국도 우리나라 못지 않게 난리를 치렀다니 동병상련인지 친밀감마저 든다.

명절에 고향을 찾아가는 일을 ‘귀성’(歸省)이라 하는데, 왜 ‘귀향’(歸鄕)이라고 하지 않을까?

‘귀성’은 현대 일본어에서도 흔히 쓰이는 말이어서 그쪽 한자어가 들어온 게 아닐까 싶지만, 그렇지는 않은 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옛 문헌에서는 고려 사람 이색(1328~1396)의 시에 이미 등장하기 때문이다. 중국 쪽 기록을 보면 당나라 때 인물인 주경여(797~?)의 시에서부터 쓰인 기록이 나온다. 그런데 중국어 사전에서 ‘귀성’은 ‘고향에 돌아가 부모님을 살핀다’(回鄕省親, 回家探親)는 뜻이므로, 성(省)은 ‘마을’이나 ‘고향’이 아니라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살핀다’는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명절이라고 단지 고향에 가는 것으로 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부터 타향에 나가 사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고향에 가서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돌보았다. 조선 때 관료들도 기일과 명절에는 공식 휴가를 얻어서 귀성하였다고 한다. 이런 전통을 받들어 우리 민족의 귀성 행렬은 꿋꿋하게 이어졌던 것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71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7953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16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58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48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05
2859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22
2858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8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61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63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57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02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69
»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05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51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3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97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7959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590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1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92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70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