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9 23:39

흥정

조회 수 998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흥정

언어예절

말로 하는 일에 흥정 아닌 게 드물다. 집안·사회 두루 사람 관계가 그러하며, 회사·나랏일도 대체로 이로써 이뤄지고 발전한다. 이를 격식화한 것이 약속, 곧 법·기준이다. 그것도 바뀔 수 있으므로 임시방편이다. 그러니 공사간에 늘 새로운 흥정이 이뤄지기 마련이다.

“흥정도 부조다”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리랬다”는 흥정을 좋게 여기는 속담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흥정을 ‘물건 값을 덜 주고 더 받으려는 수작’, ‘제 이익을 좀더 보려는 짓거리’로 좁히거나 낮잡아 쓰는 편이다. 이런 생각이나 풍토는 말을 가난하게 한다. 말의 가난은 그 말겨레의 정신을 가난하게 한다.

‘거래·협상·회담·상담·교섭·중개·수작 …’ 행위들을 싸잡아 ‘흥정’으로 일컫지 못할 게 없다.

흥정만큼이나 ‘장사’도 낮잡히는 경향이 있다. 사·농·공·상 차별이 사라진 자본주의 세상에서 ‘장사·흥정’을 값싸게 여기는 풍토를 어떻게 봐야 할까? 무슨 일자리 나누기와는 다른 결과를 부른다. 장사·흥정 자리는 ‘비즈니스·바겐·마케팅·로비 …’ 따위에 많이 내주었다.

“정치적 흥정, 흥정거리, 흥정 대상, 장물 흥정, 더런 흥정, 총선용 흥정 ….” 그 앞에 고깔을 씌워서라도 흥정을 써먹는 걸 보면 쓸모가 증명된다. 흥정에는 본디 거간·중개·변호·외교·조정·협상 따위 온갖 갈래가 있다. 관련된 학문 분야도 여럿이다. 이를 뭉뚱그리면 ‘흥정학·거래학’이 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37
1610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83
1609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79
1608 선택사양 바람의종 2009.06.11 6726
1607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5
1606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09
1605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1604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76
1603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바람의종 2009.06.09 10803
1602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02
»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986
1600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86
1599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52
1598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36
1597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62
1596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0
1595 주위 산만, 주의 산만 바람의종 2009.05.31 10907
1594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64
1593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4
1592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05
1591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07
1590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6
1589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