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9 23:37

물총새

조회 수 899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총새

짐승이름

“잔잔한 강물 위 허공에 못박힌듯/ 물총새 문득 날아와 정지비행을 한다./ 팽팽한 일촉즉발의 숨막히는 한 순간/ 표적이 잡히자마자 온몸을 내리꽂아/ 홀연히 그 부리로 잡아채는 은비녀/ 비린 살 마구 파닥이는 저 눈부신 화두여.(‘강가에 앉아’·조동화)

쫓고 쫓기는 고리들. 이것이 삶이요, 자연의 질서다. 물고기와 물총새의 관계에는 먹히느냐 살아남느냐 하는 절박한 문제가 따른다. 마침내 재수없는 물고기는 물총새의 밥이 되고 만다. 물고기는 은비녀처럼 살아서 도망쳐 보겠다고 파닥일밖에. 물총새란 총알처럼 빠르게 물속으로 들어가 고기나 새우, 더러는 벌레를 잡는다고 붙인 이름일 터.

물총새의 전설이 어느 신문에 소개된 일이 있었다. 물총새가 바다를 날다가 지치면 암놈이 수놈의 밑으로 들어가 수놈을 업고 난다. 어디 암수 관계만 그러랴. 함께 걷다 같이 살다 누구인가 지치고 쓰러지려 할 때, 손을 내밀어 산다면 그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이 될 것인가. 물총새의 삶에서 사람이 배울 바도 있다.

물총새는 겉으로 보기가 아름다워 비취옥 같다 하여 비조(翡鳥)라 이른다. <열녀춘향수절가>에 “호연 비조 뭇새들은 농초화답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들어 온갖 춘정 다투었다”에 그런 비유가 나온다. 꽃 피는 봄을 맞은 젊은이들의 애틋한 설렘을 노래했다. 소한 대한 다 지났거늘 입춘을 어찌 멀다 하리.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9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5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518
1874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1873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71
1872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66
1871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65
1870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64
1869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63
1868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061
1867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1866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59
1865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55
1864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53
1863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50
1862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47
1861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46
1860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46
1859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1858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045
1857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43
1856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42
1855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36
1854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32
1853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