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1 14:17

나이

조회 수 59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이

언어예절

뭐든 먹으면 줄어들기 마련인데, 나이는 먹을수록 쌓인다. 전날엔 나이가 하나의 힘(권위)이었고, 어른 나이는 ‘잡수신다’고 했다. 그래서 때에 따라 나이를 더하여 말하기 일쑤였으나 요즘은 그렇지도 않다. 셈하는 방식에 ‘세는 나이’(나자마자 한 살), ‘찬(만) 나이’가 있다. 요즘은 환갑·진갑을 잘 찾지 않는데, 노인인구 비율(14% 이상)이 크게 늘어난 ‘고령 사회’가 새로운 걱정거리다.

우리는 아직 나이 묻는 게 큰 실례가 아닌 사회에 산다. 꺼리거나 실례될 거리가 아니라고 본다는 얘기다. 사람을 얘기할 때 으레 따라다니는 정보가 몇 있다. 나이·성별은 기본이고, 출신 지역·학교, 본관(관향), 직업 …들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사람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나이는 말의 계급을 나누는 데서 신분 이상으로 큰 구실을 한다. 신분 제도가 사라진 오늘날도 우리말에서 ‘높임법’(대우법)이 엄연한 게 이를 증명한다. ‘배기·짜리’는 주로 어린 나이 뒤에 붙인다. 살·세(歲)는 나이를 세는 단위다. ‘14살 나이에/ 14세 나이에’라면 ‘열네 살/ 십사 세’로 읽는 게 옳다. 여기서 ‘나이’는 군더더기다.

‘나이’보다는 ‘연세·연령·연치·춘추’를, ‘살’보다 ‘세’를 점잖게 여겨 왔다. 한자말에 낀 이런 관습 거품도 많이 가신 듯하지만 아직 다 걷히지는 않은 듯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32
1852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85
185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20
1850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13
1849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38
1848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795
1847 발발아 바람의종 2009.10.06 6264
1846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06
1845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511
1844 이모작 바람의종 2009.10.02 8489
1843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2
1842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14
1841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52
1840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75
1839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838 절거리 바람의종 2009.10.01 8507
1837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5
1836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183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08
183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06
1833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8
1832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25
1831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50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