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1 14:17

나이

조회 수 60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이

언어예절

뭐든 먹으면 줄어들기 마련인데, 나이는 먹을수록 쌓인다. 전날엔 나이가 하나의 힘(권위)이었고, 어른 나이는 ‘잡수신다’고 했다. 그래서 때에 따라 나이를 더하여 말하기 일쑤였으나 요즘은 그렇지도 않다. 셈하는 방식에 ‘세는 나이’(나자마자 한 살), ‘찬(만) 나이’가 있다. 요즘은 환갑·진갑을 잘 찾지 않는데, 노인인구 비율(14% 이상)이 크게 늘어난 ‘고령 사회’가 새로운 걱정거리다.

우리는 아직 나이 묻는 게 큰 실례가 아닌 사회에 산다. 꺼리거나 실례될 거리가 아니라고 본다는 얘기다. 사람을 얘기할 때 으레 따라다니는 정보가 몇 있다. 나이·성별은 기본이고, 출신 지역·학교, 본관(관향), 직업 …들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사람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나이는 말의 계급을 나누는 데서 신분 이상으로 큰 구실을 한다. 신분 제도가 사라진 오늘날도 우리말에서 ‘높임법’(대우법)이 엄연한 게 이를 증명한다. ‘배기·짜리’는 주로 어린 나이 뒤에 붙인다. 살·세(歲)는 나이를 세는 단위다. ‘14살 나이에/ 14세 나이에’라면 ‘열네 살/ 십사 세’로 읽는 게 옳다. 여기서 ‘나이’는 군더더기다.

‘나이’보다는 ‘연세·연령·연치·춘추’를, ‘살’보다 ‘세’를 점잖게 여겨 왔다. 한자말에 낀 이런 관습 거품도 많이 가신 듯하지만 아직 다 걷히지는 않은 듯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6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496
2864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0
2863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79
2862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687
2861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85
286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26
2859 노력했지마는 / 노력했지만은 바람의종 2012.06.14 8556
2858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55
2857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92
2856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26
2855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54
2854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98
2853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32
2852 응씨배 바람의종 2012.06.01 11404
285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606
2850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438
2849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610
2848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32
2847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85
2846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278
2845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91
2844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159
2843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