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1 14:17

나이

조회 수 60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이

언어예절

뭐든 먹으면 줄어들기 마련인데, 나이는 먹을수록 쌓인다. 전날엔 나이가 하나의 힘(권위)이었고, 어른 나이는 ‘잡수신다’고 했다. 그래서 때에 따라 나이를 더하여 말하기 일쑤였으나 요즘은 그렇지도 않다. 셈하는 방식에 ‘세는 나이’(나자마자 한 살), ‘찬(만) 나이’가 있다. 요즘은 환갑·진갑을 잘 찾지 않는데, 노인인구 비율(14% 이상)이 크게 늘어난 ‘고령 사회’가 새로운 걱정거리다.

우리는 아직 나이 묻는 게 큰 실례가 아닌 사회에 산다. 꺼리거나 실례될 거리가 아니라고 본다는 얘기다. 사람을 얘기할 때 으레 따라다니는 정보가 몇 있다. 나이·성별은 기본이고, 출신 지역·학교, 본관(관향), 직업 …들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사람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나이는 말의 계급을 나누는 데서 신분 이상으로 큰 구실을 한다. 신분 제도가 사라진 오늘날도 우리말에서 ‘높임법’(대우법)이 엄연한 게 이를 증명한다. ‘배기·짜리’는 주로 어린 나이 뒤에 붙인다. 살·세(歲)는 나이를 세는 단위다. ‘14살 나이에/ 14세 나이에’라면 ‘열네 살/ 십사 세’로 읽는 게 옳다. 여기서 ‘나이’는 군더더기다.

‘나이’보다는 ‘연세·연령·연치·춘추’를, ‘살’보다 ‘세’를 점잖게 여겨 왔다. 한자말에 낀 이런 관습 거품도 많이 가신 듯하지만 아직 다 걷히지는 않은 듯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55
642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80
641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82
640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639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91
638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504
637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617
636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9
635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37
634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8
63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86
632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05
631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917
»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9
62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8
628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4
627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60
626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306
625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41
62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3
62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622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7
621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