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1 12:44

찌르레기

조회 수 877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찌르레기

짐승이름

“어느 날 창운은 남쪽의 병후가 표식 가락지를 끼워서 날린 쇠찌르레기를 발견하게 된다. 원 박사는 여기에서 자신이 기른 쇠찌르레기가 온 강토에 서식하게 되었다는 점, 남한에 간 아들이 자신과 같이 쇠찌르레기에 깊은 애착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는 점에 학자로서의 큰 기쁨과 만족을 느낀다. ‘이 녀석아! 왜 가락지에 몇 자 적어서 안서로 띄우지 못했느냐. 그러면 못 쓴다더냐. 아이 적 홍역을 앓으면서 이 에미의 속을 지지리도 태우더니 다 자란 지금에도 …….’”(림종상 ‘찌르레기’에서)

찌르레기는 여름새다. 철 되면 날아드는 찌르레기를 보며 아들을 생각하는 어버이의 마음. 쪽지 한 자라도 찌르레기 편에 보내련만. 그리 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찌르레기가 ‘키릿, 키리릿’ … 울면 새끼나 짝을 찾는 소리고, ‘키, 키, 키 …’ 하며 날카롭게 울면 주위를 경계하라는 소리란다. 나무 구멍이나 처마 밑 틈새, 돌담 어디서나 둥지를 튼다. 동북아에 널리 흩어져 사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더러는 남부지방에서 겨울을 나기도 한다.

뭔가 찌르듯이 생겨 먹잇감을 얻는 모양을 보아 ‘찌르다’〔刺〕의 ‘찌르-’에 접미사 ‘-에기’를 붙여 부르게 된 이름이다. ‘-레기’는 ‘-에기’에 ‘ㄹ’이 덧붙어 ‘-레기’로 된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 따라 ‘찌르르’ 우는 소리를 내는 ‘베짱이’를 달리 일컫는 이름으로도 쓰인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25
3018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63
3017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52
301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292
301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72
3014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43
3013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69
3012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684
301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19
3010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60
3009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115
3008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198
300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769
3006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72
3005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531
300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984
300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65
3002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501
300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55
300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620
2999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04
2998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81
2997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