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1

아나운서

조회 수 63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나운서

언어예절

누구나 말을 하며 산다. 뜻을 주고받으면 그만이지만, 생각을 제대로 베풀기란 어렵다. 고집·앙탈·부아·지랄 …들은 말이 잘 통하지 않을 때 생긴다. 말을 잘한다는 건 편안하고 알아듣기 쉽게 하는 것이다. 말을 특히 잘해야 하는 직업을 꼽아보자. 변호사·검사·판사, 교사·정치인·상인, 성우·판소리꾼·연기자 …들이 떠오르지만, 말을 가려 쓰고 정확히 하는 데서는 아나운서가 으뜸이다.

아나운서 동네에서는 특히 표준말 쓰기를 강조한다. 이를 뭉뚱그린 말이 ‘바르고 곱게’다. 이로써 표준말을 보급하는 데 큰 구실을 했다. 이들의 말 한 마디가 ‘표준’이 된다. 여기에 ‘정확하게·유창하게·재미나게·편안하게’를 더하여 바른말·고운말·옳은말로 어지러운 세상을 맑힐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겠다.

이름이 외래어인 건 문제다. 그나마 프로듀서는 연출가, 리포터는 기자라는데, 아나운서만 그대로다. 누구보다 우리말을 사랑하고 베풀어 쓰는 말 일꾼이기에 더 아쉽다. 바꿔 쓸 때도 놓친 듯하다. 북한·일본은 ‘방송원’, 중국은 파송원(播送員)을 쓴다. ‘조선말대사전’의 ‘방송원’ 풀이가 괜찮다. “자기 화술로써 보도·해설·소개 등의 방송을 주로 하는 사람”이다.

텔레비전이 나오면서 인기인 성격이 덧붙었다. 품위를 다잡는 훈련과 공부가 따라야 함은 방송 종사자 두루 다를 게 없을 터. 때로 사투리도 부려쓸 수 있다면 더할나위가 없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7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4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04
642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80
641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76
640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639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91
638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504
637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610
636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4
635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33
634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5
63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73
632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05
631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99
630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2
629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8
628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21
627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626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286
» 아나운서 바람의종 2009.05.30 6335
62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33
62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9
622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7
621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