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8 16:36

왕구울개

조회 수 719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왕구울개

사람이름

1452년, 충청도 연산 사는 ‘왕구울개’(往仇于乙介)라는 어른의 나이가 101살이 되었다. 단종 임금은 해당 지역 관아로 하여금 늘 살피고 받들게 하였다.

‘往’(왕)이라는 성씨가 있을까? 문헌을 살피면 ‘왕두라·왕모디·왕리·왕석·왕청’(往豆羅·往毛知·往里·往石·往聽)도 있다. 왕이 성씨일 가능성은 충분히 있으나 족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구르다’는 옛말로 ‘구울다’이므로 ‘구울개’는 이로부터 비롯되었음이 분명하다.

‘굴’로 시작하는 이름에 ‘굴이·굴개·굴동이·굴금이·굴독이·굴에·굴운이’가 있다. ‘굴개’와 ‘굴에’(仇乙於伊)는 같은 뿌리로 보인다. 굴레는 말이나 소 따위를 부릴 때 머리와 목에서 고삐에 걸쳐 얽어매는 줄과 베틀에서 베를 짤 때 바디집(바디틀)에서 바디 살이 고정되도록 매는 끈을 이른다.

달리 어린이 방한용 머리 꾸밈에도 굴레가 있다. 의궤를 보면 ‘굴개’(拘乙介)는 ‘걸레’(擧乙乃)와 거의 함께 나오며 베나 모시로 만든다. ‘굴게/굴레’로도 적은 ‘굴개’는 걸레 비슷한 행주인 듯도 하다. ‘굴이·굴동이’는 굴에서 태어났을까? ‘굴독’은 옛말로 굴뚝이다.

‘왕구울개’는 충청도, ‘왕두라’와 ‘왕모디’는 의주와 강동, ‘왕리’는 안동, ‘왕청’은 한양에 살았다. 17세기 초 기록을 마지막으로 이 성씨는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458
2424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34
2423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36
2422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38
242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39
2420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340
2419 바캉스 바람의종 2008.02.12 7341
2418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45
2417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46
2416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46
2415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8
2414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48
241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357
2412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360
2411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1
2410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2409 안절부절 못하다 바람의종 2008.01.22 7363
2408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4
2407 대비, 대처 바람의종 2012.06.26 7368
2406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370
2405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7.12.29 7372
2404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72
2403 고무적 바람의종 2007.06.03 7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