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8 16:34

생각두룩새

조회 수 574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두룩새

고장말

‘-두룩새’는 표준말 ‘-을수록’에 해당하는 평안말이다. “고래당 같은 게아집두 짓구 첩두 얻구 무엇두 허구 이러먼 잘사는 거를 생각하넌데 생각하두룩새} 마음이 싱숭상숭해지구 ….”(<한국구전설화> 평안편) “움물은 깊두룩새} 물이 맑고 차디.”(<평북방언사전>) ‘-두룩새’의 ‘두룩’은 15세기에 쓰였던 ‘C록’에서 온 말(C록>도록>도룩>두룩)이다. ‘-C록’은 현대어 ‘-도록’의 뜻으로도 쓰였지만, ‘-을수록’의 기능으로도 쓰였다. “만히 듣C록} 어둑 信티 아니NB니.”(<남명집언해>)

경기·강원·충청 쪽 ‘-다락’도 ‘-두룩새’처럼 ‘-C록’에서 왔다. “자꾸 허다락} 잡울 수가 있는 거니껀.” “통발은 이건 많이 있다락} 좋아.”(충남) 제주의 ‘-닥지’나 ‘-다끼’도 ‘?록’과의 관련이 있겠으나, 형태에서 한참 멀어졌다. “술은 오래 되닥지 많이 좋아.” “짐는 묵이다끼} 맛이 좋아.”(제주)

‘-두룩새·-다락·-닥지’가 쓰이는 곳뿐만 아니라 다른 데서도 ‘-을수록’과 ‘-을수룩’이 함께 쓰인다. “짐승이 있을수룩} 인간 근처에 있어야지, 다른 데 가 잘 수 있는가?”(<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다만 전라·함경 쪽에서는 ‘-을수락’이 쓰인다. 전라말에서는 ‘-을수락’에 ‘-이’나 ‘-에’가 더하여 뜻을 강조하기도 한다. “볼수락이} 이뿌단 말이요.”(위 책 전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5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35
1874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40
1873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4
1872 바람의종 2008.08.03 6707
1871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15
1870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72
1869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85
1868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70
1867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701
1866 벗어지다, 벗겨지다 바람의종 2008.11.15 8100
1865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820
1864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29
1863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862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637
1861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89
1860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79
1859 벽창호 風磬 2006.11.30 6120
1858 변죽 바람의종 2010.11.02 10958
1857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80
1856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1855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314
1854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69
1853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8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