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6 09:28

종달새

조회 수 1006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종달새

짐승이름

“내 고향으로 날 보내 주/ 오곡백화가 만발하였고/ 종달새 높이 떠 지저귀는 곳/ 이 늙은 흑인의 본향이로다. ….”(미국 노래) 지금도 고향 들판 어딘가에서 종달새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검둥이라는 이유로 한 많은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흑인들의 애환도 이제 옛말이 되어 간다. 미국에서 오바마 같은 흑인 대통령이 나올 정도로 세상이 바뀌었으니.

종달새는 봄철에 보리밭이나 밀밭에서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아 새끼를 친다. 다른 짐승들이 해코지를 할 양이면 몹시 울어 이를 경계하며 쫓는다. 때로는 알 주위를 빙빙 돌며 이를 지킨다. 종족 보전의 본능이랄까. 이따금 제 아이도 낳아서 버리는 사람 세상과는 사뭇 다르다. 농사철이 될라치면 울음소리를 들을 수가 없다.

저들은 텃새다. 종달새는 종다리, 더러는 노고지리·종지조(從地鳥)·운작(雲雀)·고천자(告天子)·규천자(叫天子)라고도 한다. 노고지리는 높이 날아 운다는 뜻이며, 종지조는 글자 그대로 들 곧 보리밭 같은 데서 주로 사니까 땅에서 사는 새다. 고천자·규천자는 높이 날아 하늘에 울어 알린다는 뜻이다. 운작은 구름 위에서 울며 나는 참새. 그럼 종달새는 어떠한가? 종달새의 ‘달’도 땅을 이른다. 낱말 겨레를 동아리 지으면 ‘달-닫-닷-다(ㅎ)-따-C’와 같이 된다. 그러니 종달새란 땅에서 살며 때로는 높이 나는 새가 되겠다. 고향 마을 종달새를 잃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1
229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82
2291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78
2290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75
2289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75
228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4
2287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62
2286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160
22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57
2284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57
2283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6
2282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52
2281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151
2280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48
2279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40
2278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40
2277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136
227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130
2275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28
2274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26
2273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118
2272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15
2271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1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