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6 09:28

종달새

조회 수 1005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종달새

짐승이름

“내 고향으로 날 보내 주/ 오곡백화가 만발하였고/ 종달새 높이 떠 지저귀는 곳/ 이 늙은 흑인의 본향이로다. ….”(미국 노래) 지금도 고향 들판 어딘가에서 종달새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검둥이라는 이유로 한 많은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흑인들의 애환도 이제 옛말이 되어 간다. 미국에서 오바마 같은 흑인 대통령이 나올 정도로 세상이 바뀌었으니.

종달새는 봄철에 보리밭이나 밀밭에서 둥지를 틀고 알을 낳아 새끼를 친다. 다른 짐승들이 해코지를 할 양이면 몹시 울어 이를 경계하며 쫓는다. 때로는 알 주위를 빙빙 돌며 이를 지킨다. 종족 보전의 본능이랄까. 이따금 제 아이도 낳아서 버리는 사람 세상과는 사뭇 다르다. 농사철이 될라치면 울음소리를 들을 수가 없다.

저들은 텃새다. 종달새는 종다리, 더러는 노고지리·종지조(從地鳥)·운작(雲雀)·고천자(告天子)·규천자(叫天子)라고도 한다. 노고지리는 높이 날아 운다는 뜻이며, 종지조는 글자 그대로 들 곧 보리밭 같은 데서 주로 사니까 땅에서 사는 새다. 고천자·규천자는 높이 날아 하늘에 울어 알린다는 뜻이다. 운작은 구름 위에서 울며 나는 참새. 그럼 종달새는 어떠한가? 종달새의 ‘달’도 땅을 이른다. 낱말 겨레를 동아리 지으면 ‘달-닫-닷-다(ㅎ)-따-C’와 같이 된다. 그러니 종달새란 땅에서 살며 때로는 높이 나는 새가 되겠다. 고향 마을 종달새를 잃고 사는 것은 아닌지.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8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69
1170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87
1169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92
1168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093
1167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1166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8
1165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03
1164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103
1163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106
1162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106
1161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108
1160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19
1159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22
1158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35
1157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138
1156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39
115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40
1154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44
1153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144
1152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46
1151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46
1150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50
1149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