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7

가젠하민

조회 수 695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젠하민

고장말

제목 ‘가젠하민’의 ‘하’는=아래아 하입니다.

‘-젠’은 표준말 ‘-으려고’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젱’도 쓰이는데, ‘-젠’이나 ‘-젱’은 ‘-저’의 변형 ‘-제’에 ‘ㄴ’이나 ‘-ㅇ’이 덧붙은 것이다. “그건 웃대가리들이 책임을 모면해 보젠} 둘러대는 핑계라 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지애(地下)님전 빌젱} 허여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 ‘-젠’에 해당하는 함경말은 ‘-자구’, ‘-자구서리’다. “강차이(삽) 사자구 가니?” “기래서 잔채르 하자구서리 농사하이까?”(<동해안 방언연구> 황대화) ‘-자구’는 고려말이나 재중동포 말에서도 보인다. “돈으 벌자구 연길에 갑니다.”

‘-으려고’에 대응하는 고장말은 제주와 함경을 제외하면 모두 ‘-으려고’의 변이형태들이 쓰인다. 경기·강원·충청·평안에서는 ‘-을려구/을랴구/을라구’가 쓰이는데, 이들은 ‘-으려고>을려고>을려구>을랴구>을라구’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이다. “옳아, 살랴구} 온 것이 아이라 구경하러 이세상에 왔다구.”(<강노인의 웃음> 이정호) “허허 그놈 갑갑해서 어떻게 잘려구} 그래.”(<어둠의 자식들> 황석영) “하루쯤 굶어서 죽을라구요}.”(<상록수> 심훈)

전라 ‘-을라고’, 경상 ‘-을라꼬’들은 ‘-으려고>을려고>을랴고>을라고>을라꼬’와 같은 변화를 겪었다. “저 늙다리 예펜네가 뒤질라고} 환장을 혔댜?”(<장마> 윤흥길) “그러나 그보다도 경찰서에서 잡을라꼬} 눈이 벌개져 찾아댕기는 거를 보믄 ….”(<토지> 박경리)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2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87
1588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52
1587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16
1586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34
1585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8007
1584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308
1583 너비, 넓이 바람의종 2009.10.07 10796
1582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84
1581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91
1580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30
1579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6
1578 마냥, 모양 바람의종 2009.10.08 7555
1577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26
1576 마음쇠 file 바람의종 2009.10.27 8426
1575 커닝 바람의종 2009.10.27 7990
1574 뿐만 아니라, 때문에 바람의종 2009.10.27 10489
1573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21
1572 무료와 공짜 바람의종 2009.10.27 8768
1571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94
1570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40
1569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711
1568 전향적? 바람의종 2009.10.28 10985
1567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