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5

이바지

조회 수 590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바지

언어예절

모임이나 법을 만들 때 내세우는 말이 있다. 할바, 곧 목적과 이바지란 말이다. 법·정관 앞부분에 “~ 목적을 이룸으로써 ○○에 이바지한다, ~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는 틀이다. 으레 사람·사회·나라에 좋고 이로운 일을 한다는 명분이다. 모든 제도는 이로써 설 자리를 다진다. ‘이바지’란 사회적 약속이자 온갖 제도와 모임을 세우는 고갱이가 되는 말로서, 예부터 쓰던 말이다. 이를 부수고 깨뜨리는 데도 ‘이바지’가 명분이 된다.

목표는 목적에 이르는 과정에 놓는 여러 표적이다. 이바지를, 기여·공헌·기부·베풂·나눔 …으로 가르기도 한다. 사회공헌 기업, 공익재단, 사회창안, 두뇌집단 …들도 이바지 활동과 관련해 생긴 모임들이다.

이바지란 가진자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보다 못가진자가 더 큰 구실을 하는 편이다. 덜 어지럽히고 덜 쓰고 덜 먹는 것이 더 어려운 이바지가 되는 세상 아닌가. 가난은 누구나 싫어하므로 이를 강요하기는 뭣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넘침보다 가난이 큰 미덕이다. 그것이 값진 것이자 철학이 되도록 하는 게 이 시대의 과제인 듯싶다.

굳이 굳어진 판박이 문틀로 이바지를 내세우지 않고서도 그런 뜻을 담은 표현을 달리할 수도 있다. ‘~ 하고자 한다, ~ 하려고 한다’는 연설·선언투에서 자주 쓰고, “공익이 공동체 안에서 그 영역을 넓혀 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싶습니다”라면 좀 사적이고 고백하는 맛을 내는 표현이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0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62
2908 죽을맛 바람의종 2010.05.13 11739
2907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2
2906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72
2905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47
2904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8
2903 주최, 주관, 후원 바람의종 2009.07.23 7825
2902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84
2901 주책없다 바람의종 2007.05.22 8551
2900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68
289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746
2898 주인공과 장본인 바람의종 2008.09.18 7509
2897 주은, 구은, 책갈피 바람의종 2008.10.25 8677
2896 주위 산만, 주의 산만 바람의종 2009.05.31 10897
2895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66
2894 주어지다 바람의종 2010.09.04 12365
2893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45
2892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098
2891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28
2890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115
2889 주소서 바람의종 2008.09.26 5880
2888 주먹구구 바람의종 2010.10.04 12396
2887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