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5

이바지

조회 수 592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바지

언어예절

모임이나 법을 만들 때 내세우는 말이 있다. 할바, 곧 목적과 이바지란 말이다. 법·정관 앞부분에 “~ 목적을 이룸으로써 ○○에 이바지한다, ~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는 틀이다. 으레 사람·사회·나라에 좋고 이로운 일을 한다는 명분이다. 모든 제도는 이로써 설 자리를 다진다. ‘이바지’란 사회적 약속이자 온갖 제도와 모임을 세우는 고갱이가 되는 말로서, 예부터 쓰던 말이다. 이를 부수고 깨뜨리는 데도 ‘이바지’가 명분이 된다.

목표는 목적에 이르는 과정에 놓는 여러 표적이다. 이바지를, 기여·공헌·기부·베풂·나눔 …으로 가르기도 한다. 사회공헌 기업, 공익재단, 사회창안, 두뇌집단 …들도 이바지 활동과 관련해 생긴 모임들이다.

이바지란 가진자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보다 못가진자가 더 큰 구실을 하는 편이다. 덜 어지럽히고 덜 쓰고 덜 먹는 것이 더 어려운 이바지가 되는 세상 아닌가. 가난은 누구나 싫어하므로 이를 강요하기는 뭣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넘침보다 가난이 큰 미덕이다. 그것이 값진 것이자 철학이 되도록 하는 게 이 시대의 과제인 듯싶다.

굳이 굳어진 판박이 문틀로 이바지를 내세우지 않고서도 그런 뜻을 담은 표현을 달리할 수도 있다. ‘~ 하고자 한다, ~ 하려고 한다’는 연설·선언투에서 자주 쓰고, “공익이 공동체 안에서 그 영역을 넓혀 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싶습니다”라면 좀 사적이고 고백하는 맛을 내는 표현이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68
2908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79
2907 화성돈 바람의종 2012.08.30 10925
2906 으레, 으례, 의례 바람의종 2012.08.23 15081
2905 나무랬다, 나무랐다 / 바람, 바램 바람의종 2012.08.23 21028
2904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83
2903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93
2902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403
2901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1
2900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14
2899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625
289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816
2897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5019
2896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56
2895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85
2894 뇌졸중 / 뇌졸증 바람의종 2012.08.13 11942
2893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72
2892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56
2891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19
2890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257
2889 쌍거풀, 쌍가풀, 쌍꺼풀, 쌍까풀 바람의종 2012.07.27 14012
2888 바람의종 2012.07.27 9282
2887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