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5

이바지

조회 수 593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바지

언어예절

모임이나 법을 만들 때 내세우는 말이 있다. 할바, 곧 목적과 이바지란 말이다. 법·정관 앞부분에 “~ 목적을 이룸으로써 ○○에 이바지한다, ~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둔다”는 틀이다. 으레 사람·사회·나라에 좋고 이로운 일을 한다는 명분이다. 모든 제도는 이로써 설 자리를 다진다. ‘이바지’란 사회적 약속이자 온갖 제도와 모임을 세우는 고갱이가 되는 말로서, 예부터 쓰던 말이다. 이를 부수고 깨뜨리는 데도 ‘이바지’가 명분이 된다.

목표는 목적에 이르는 과정에 놓는 여러 표적이다. 이바지를, 기여·공헌·기부·베풂·나눔 …으로 가르기도 한다. 사회공헌 기업, 공익재단, 사회창안, 두뇌집단 …들도 이바지 활동과 관련해 생긴 모임들이다.

이바지란 가진자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보다 못가진자가 더 큰 구실을 하는 편이다. 덜 어지럽히고 덜 쓰고 덜 먹는 것이 더 어려운 이바지가 되는 세상 아닌가. 가난은 누구나 싫어하므로 이를 강요하기는 뭣하지만 예나 지금이나 넘침보다 가난이 큰 미덕이다. 그것이 값진 것이자 철학이 되도록 하는 게 이 시대의 과제인 듯싶다.

굳이 굳어진 판박이 문틀로 이바지를 내세우지 않고서도 그런 뜻을 담은 표현을 달리할 수도 있다. ‘~ 하고자 한다, ~ 하려고 한다’는 연설·선언투에서 자주 쓰고, “공익이 공동체 안에서 그 영역을 넓혀 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싶습니다”라면 좀 사적이고 고백하는 맛을 내는 표현이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0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77
2908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81
2907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75
2906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75
2905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70
2904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61
2903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59
2902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258
2901 내부치다, 내붙이다 바람의종 2010.11.05 12254
2900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251
2899 북녘말 바람의종 2012.10.04 12250
2898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238
2897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0
2896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229
2895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28
2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6
2893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20
2892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210
2891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203
2890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200
2889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188
2888 선소리 바람의종 2010.11.21 12179
2887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