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7

차돌이

조회 수 985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돌이

사람이름

조선 때 벼슬아치가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소(上疏), 일반 백성이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언(上言)이라 했다. 안산 사는 ‘박차돌’(朴次乭)의 아내 바독이(所獨)가 정조 임금께 상언을 하였다. 호조의 종이던 남편이 병신년에 이미 숨졌는데 여태껏 ‘신공’을 바치고 있으니, ‘탈급’받게(면제받게) 해 주십사 하였다. ‘신공’은 노비가 ‘구위’(관아) 또는 ‘항것’(상전)에게 신역(노동) 대신 베나 쌀·돈 따위로 치르던 구실(구위실·세)이다.

사람이름에 ‘차돌이·차돌히’가 함께 쓰인다. 차돌은 대개 석영(또는 규석)을 이른다. 석영의 결정이 수정이며, 뜨물을 주면 큰다는 장독의 수정은 ‘고석’이라고도 부른다. 한의서에 ‘차돌’은 방해석, ‘곱돌’은 ‘납석’을 이르나 본디 석영과 활석이다. 식당에서 쓰는 곱돌솥은 대개 반려암이다. 장석은 ‘질돌’, 운모는 ‘돌비늘’이며, 돌비늘에는 ‘검은돌비늘’(흑운모)과 ‘흰돌비늘’(백운모)이 있다. 광물이름에 ‘돌솜’은 석면, ‘싸락돌’은 아라고나이트, ‘납돌’은 방연석이고, 한약 재료인 ‘산골’과 ‘무명이’는 이황화철과 수지석(덴드라이트)이다.

힘들고 고달플 때 마음을 차돌멩이처럼 굳건히 다잡고자 하곤 한다. ‘차돌이·찰이·차쇠·차녜·찹쇠’의 부모도 그런 마음이었을까? 차돌 맥 따라 금이 생산되곤 한다. 금가루 섞인 붉은 차돌을 ‘수수돌’이라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25
1896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77
1895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6
189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75
1893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69
189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63
1891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61
1890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8
1889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8
1888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887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56
1886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54
1885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188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49
1883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882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45
1881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8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879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36
187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36
1877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34
1876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30
187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