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7

차돌이

조회 수 982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돌이

사람이름

조선 때 벼슬아치가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소(上疏), 일반 백성이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언(上言)이라 했다. 안산 사는 ‘박차돌’(朴次乭)의 아내 바독이(所獨)가 정조 임금께 상언을 하였다. 호조의 종이던 남편이 병신년에 이미 숨졌는데 여태껏 ‘신공’을 바치고 있으니, ‘탈급’받게(면제받게) 해 주십사 하였다. ‘신공’은 노비가 ‘구위’(관아) 또는 ‘항것’(상전)에게 신역(노동) 대신 베나 쌀·돈 따위로 치르던 구실(구위실·세)이다.

사람이름에 ‘차돌이·차돌히’가 함께 쓰인다. 차돌은 대개 석영(또는 규석)을 이른다. 석영의 결정이 수정이며, 뜨물을 주면 큰다는 장독의 수정은 ‘고석’이라고도 부른다. 한의서에 ‘차돌’은 방해석, ‘곱돌’은 ‘납석’을 이르나 본디 석영과 활석이다. 식당에서 쓰는 곱돌솥은 대개 반려암이다. 장석은 ‘질돌’, 운모는 ‘돌비늘’이며, 돌비늘에는 ‘검은돌비늘’(흑운모)과 ‘흰돌비늘’(백운모)이 있다. 광물이름에 ‘돌솜’은 석면, ‘싸락돌’은 아라고나이트, ‘납돌’은 방연석이고, 한약 재료인 ‘산골’과 ‘무명이’는 이황화철과 수지석(덴드라이트)이다.

힘들고 고달플 때 마음을 차돌멩이처럼 굳건히 다잡고자 하곤 한다. ‘차돌이·찰이·차쇠·차녜·찹쇠’의 부모도 그런 마음이었을까? 차돌 맥 따라 금이 생산되곤 한다. 금가루 섞인 붉은 차돌을 ‘수수돌’이라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40
2204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52
2203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849
2202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843
2201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42
2200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839
2199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33
2198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바람의종 2010.02.25 9833
2197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32
2196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31
2195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30
»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22
2193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10
2192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805
2191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05
2190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03
218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03
2188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03
2187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02
2186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2185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0
2184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99
2183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