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7

차돌이

조회 수 984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돌이

사람이름

조선 때 벼슬아치가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소(上疏), 일반 백성이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언(上言)이라 했다. 안산 사는 ‘박차돌’(朴次乭)의 아내 바독이(所獨)가 정조 임금께 상언을 하였다. 호조의 종이던 남편이 병신년에 이미 숨졌는데 여태껏 ‘신공’을 바치고 있으니, ‘탈급’받게(면제받게) 해 주십사 하였다. ‘신공’은 노비가 ‘구위’(관아) 또는 ‘항것’(상전)에게 신역(노동) 대신 베나 쌀·돈 따위로 치르던 구실(구위실·세)이다.

사람이름에 ‘차돌이·차돌히’가 함께 쓰인다. 차돌은 대개 석영(또는 규석)을 이른다. 석영의 결정이 수정이며, 뜨물을 주면 큰다는 장독의 수정은 ‘고석’이라고도 부른다. 한의서에 ‘차돌’은 방해석, ‘곱돌’은 ‘납석’을 이르나 본디 석영과 활석이다. 식당에서 쓰는 곱돌솥은 대개 반려암이다. 장석은 ‘질돌’, 운모는 ‘돌비늘’이며, 돌비늘에는 ‘검은돌비늘’(흑운모)과 ‘흰돌비늘’(백운모)이 있다. 광물이름에 ‘돌솜’은 석면, ‘싸락돌’은 아라고나이트, ‘납돌’은 방연석이고, 한약 재료인 ‘산골’과 ‘무명이’는 이황화철과 수지석(덴드라이트)이다.

힘들고 고달플 때 마음을 차돌멩이처럼 굳건히 다잡고자 하곤 한다. ‘차돌이·찰이·차쇠·차녜·찹쇠’의 부모도 그런 마음이었을까? 차돌 맥 따라 금이 생산되곤 한다. 금가루 섞인 붉은 차돌을 ‘수수돌’이라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3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06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14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8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0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44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97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29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3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63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20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00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0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29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36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52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07
»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0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98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18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