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7

차돌이

조회 수 979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돌이

사람이름

조선 때 벼슬아치가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소(上疏), 일반 백성이 임금께 올리는 글을 상언(上言)이라 했다. 안산 사는 ‘박차돌’(朴次乭)의 아내 바독이(所獨)가 정조 임금께 상언을 하였다. 호조의 종이던 남편이 병신년에 이미 숨졌는데 여태껏 ‘신공’을 바치고 있으니, ‘탈급’받게(면제받게) 해 주십사 하였다. ‘신공’은 노비가 ‘구위’(관아) 또는 ‘항것’(상전)에게 신역(노동) 대신 베나 쌀·돈 따위로 치르던 구실(구위실·세)이다.

사람이름에 ‘차돌이·차돌히’가 함께 쓰인다. 차돌은 대개 석영(또는 규석)을 이른다. 석영의 결정이 수정이며, 뜨물을 주면 큰다는 장독의 수정은 ‘고석’이라고도 부른다. 한의서에 ‘차돌’은 방해석, ‘곱돌’은 ‘납석’을 이르나 본디 석영과 활석이다. 식당에서 쓰는 곱돌솥은 대개 반려암이다. 장석은 ‘질돌’, 운모는 ‘돌비늘’이며, 돌비늘에는 ‘검은돌비늘’(흑운모)과 ‘흰돌비늘’(백운모)이 있다. 광물이름에 ‘돌솜’은 석면, ‘싸락돌’은 아라고나이트, ‘납돌’은 방연석이고, 한약 재료인 ‘산골’과 ‘무명이’는 이황화철과 수지석(덴드라이트)이다.

힘들고 고달플 때 마음을 차돌멩이처럼 굳건히 다잡고자 하곤 한다. ‘차돌이·찰이·차쇠·차녜·찹쇠’의 부모도 그런 마음이었을까? 차돌 맥 따라 금이 생산되곤 한다. 금가루 섞인 붉은 차돌을 ‘수수돌’이라 한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58
2842 두꺼비 바람의종 2009.09.06 6113
2841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16
2840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19
2839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19
2838 덩어쇠 바람의종 2009.03.03 6120
2837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27
2836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27
283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35
2834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36
2833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39
2832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40
2831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43
2830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43
2829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43
2828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49
2827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49
2826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3
2825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3
2824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58
2823 그르이께 어짤랑교? 바람의종 2010.03.02 6158
2822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161
2821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1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