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5

먹어 보난

조회 수 778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 보난

고장말

‘-으난/-난’은 표준어 ‘-으니까’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으나네’도 그렇다. “마악 빌레 동산 잔솔밭에 당도해연 ‘내려다보난’ 묵은 구장네 집허구 종주네 집이 불붙어 있입디다.(<순이 삼촌> 현기영) “집의서는 밀축(밀죽)을 ‘먹으나네’ 허연 촐(꼴)을 갖다 주나 아이 먹엄수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으니까’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고장말 형태로는 경기·강원·충청 쪽 ‘-으니깐두루’, 전라 ‘-응개/응깨’, 경상 ‘-으이까네’(으이까/으이까네/으이께네 등), 함경 ‘-으이까디’(으이까/으이까데/으니까디 등), 평안 ‘-으니꺼니’(으니까니/으니께니 등)들이 있다. “근데 제 어머니가 딱 ‘죽으니깐두루’ 갖다 묻어야겠단 말야.”(위 책 경기편) “내 ‘보이까디’ 일하는 체만 하더꾸마.”(함경) “어제 놈들의 신문을 ‘보니꺼니’ 딕장에 나가던 사람들은 모두 딕장으루 나오라구 했드군.”(<남과 북> 홍성원) “숭은 무신 숭, 하도 맛나게 잘 ‘묵응께’ 이뻐서 허는 소리제.”(<태백산맥> 조정래)

‘ㄴ’이 탈락한 ‘-으이까’ 유형은 백두대간 동쪽 함경·경상도에서만 쓰이며, ‘-으니께’는 제주를 뺀 전국에서 쓰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허구헌 날 놀고만 먹으니께 천하태평인 모양이지.”(<개나리> 최인욱) “걱정을 하고 누웠으이까 그 어떤 사램이 잉어를 한 마리 가와여.”(<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85
1896 담비 바람의종 2009.11.15 10731
1895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32
1894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2
1893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11
1892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30
1891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41
1890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49
1889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58
1888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3
1887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76
1886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80
1885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47
1884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00
1883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365
1882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267
1881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14
1880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68
1879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41
1878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764
1877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13
1876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496
1875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