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15

먹어 보난

조회 수 778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 보난

고장말

‘-으난/-난’은 표준어 ‘-으니까’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으나네’도 그렇다. “마악 빌레 동산 잔솔밭에 당도해연 ‘내려다보난’ 묵은 구장네 집허구 종주네 집이 불붙어 있입디다.(<순이 삼촌> 현기영) “집의서는 밀축(밀죽)을 ‘먹으나네’ 허연 촐(꼴)을 갖다 주나 아이 먹엄수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으니까’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고장말 형태로는 경기·강원·충청 쪽 ‘-으니깐두루’, 전라 ‘-응개/응깨’, 경상 ‘-으이까네’(으이까/으이까네/으이께네 등), 함경 ‘-으이까디’(으이까/으이까데/으니까디 등), 평안 ‘-으니꺼니’(으니까니/으니께니 등)들이 있다. “근데 제 어머니가 딱 ‘죽으니깐두루’ 갖다 묻어야겠단 말야.”(위 책 경기편) “내 ‘보이까디’ 일하는 체만 하더꾸마.”(함경) “어제 놈들의 신문을 ‘보니꺼니’ 딕장에 나가던 사람들은 모두 딕장으루 나오라구 했드군.”(<남과 북> 홍성원) “숭은 무신 숭, 하도 맛나게 잘 ‘묵응께’ 이뻐서 허는 소리제.”(<태백산맥> 조정래)

‘ㄴ’이 탈락한 ‘-으이까’ 유형은 백두대간 동쪽 함경·경상도에서만 쓰이며, ‘-으니께’는 제주를 뺀 전국에서 쓰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허구헌 날 놀고만 먹으니께 천하태평인 모양이지.”(<개나리> 최인욱) “걱정을 하고 누웠으이까 그 어떤 사램이 잉어를 한 마리 가와여.”(<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15
1896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074
1895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69
189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893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68
1892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63
1891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59
1890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55
1889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1888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54
1887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53
1886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1
1885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50
1884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49
1883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1882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41
1881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36
188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1
1879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1878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8
1877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28
1876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27
1875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