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어 보난

by 바람의종 posted May 20,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어 보난

고장말

‘-으난/-난’은 표준어 ‘-으니까’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으나네’도 그렇다. “마악 빌레 동산 잔솔밭에 당도해연 ‘내려다보난’ 묵은 구장네 집허구 종주네 집이 불붙어 있입디다.(<순이 삼촌> 현기영) “집의서는 밀축(밀죽)을 ‘먹으나네’ 허연 촐(꼴)을 갖다 주나 아이 먹엄수다.”(<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표준어 ‘-으니까’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고장말 형태로는 경기·강원·충청 쪽 ‘-으니깐두루’, 전라 ‘-응개/응깨’, 경상 ‘-으이까네’(으이까/으이까네/으이께네 등), 함경 ‘-으이까디’(으이까/으이까데/으니까디 등), 평안 ‘-으니꺼니’(으니까니/으니께니 등)들이 있다. “근데 제 어머니가 딱 ‘죽으니깐두루’ 갖다 묻어야겠단 말야.”(위 책 경기편) “내 ‘보이까디’ 일하는 체만 하더꾸마.”(함경) “어제 놈들의 신문을 ‘보니꺼니’ 딕장에 나가던 사람들은 모두 딕장으루 나오라구 했드군.”(<남과 북> 홍성원) “숭은 무신 숭, 하도 맛나게 잘 ‘묵응께’ 이뻐서 허는 소리제.”(<태백산맥> 조정래)

‘ㄴ’이 탈락한 ‘-으이까’ 유형은 백두대간 동쪽 함경·경상도에서만 쓰이며, ‘-으니께’는 제주를 뺀 전국에서 쓰인다는 점이 특징이다. “허구헌 날 놀고만 먹으니께 천하태평인 모양이지.”(<개나리> 최인욱) “걱정을 하고 누웠으이까 그 어떤 사램이 잉어를 한 마리 가와여.”(<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