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0

세밑

조회 수 575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밑

언어예절

신령을 밝히던 은밀한 촛불이 겨울 거리에서도 꺼지지 않는다. 흥청거림이 잦아든 대신 오가는 말속엔 세밑 인사보다 억지와 원망, 부정과 저주가 일상화한 느낌이다.

“갑이 을에게 심수(深讐)가 있어 이를 갚으려 하면 힘이 부족하고 그만두려 하면 마음이 불허하는지라, 이에 그의 화상을 향하여 눈도 빼어 보며, 그 목도 베어 보고, 혹 을의 이름을 불러 ‘염병에 죽어라, 괴질에 죽어라, 벼락에 죽어라, 급살에 죽어라!’ 하는 등의 저주다. 얼른 생각하면 백 년의 저주가 저의 일발(一髮)을 손(損)하지 못할 듯하지만, 1인 2인 … 100인 1000인의 저주를 받는 자이면 불과 몇 년에 불그을음이 그 지붕 위에 올라가며 …. 거룩하다 저주의 힘이여, 약자의 유일 무기가 아니냐?”

단재 선생(금전·철포·저주)이 일제 초기, 돈과 총칼에 눌려 누구 하나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는 현실을 한탄한 글귀다. 그 약자의 ‘유일 무기’가 요즘엔 힘센자와 집단, 가진자와 못가진자 가리지 않고 휘두른다는 점이 유별나다. 하지만 말이 바로서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떤 말도 헛수고다. 이땅에서 좌·우는 점차 ‘친일·친미·독재’ 우익보수, ‘반일·반미·빨갱이’ 좌익진보로 갈리는 듯하다. 참된 좌·우라면 저런 가름이 못마땅할 터이다. 자주·민주·정통·내림·통일은 어느 편일까?

어려운 세밑에 말이라도 제대로 세워 무작하고 겉도는 짓을 삼감으로써 두루 마음 덜 다치게 했으면 좋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22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07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16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17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85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677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73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61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08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57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0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14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076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59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11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294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34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895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46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68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26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