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0

세밑

조회 수 572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밑

언어예절

신령을 밝히던 은밀한 촛불이 겨울 거리에서도 꺼지지 않는다. 흥청거림이 잦아든 대신 오가는 말속엔 세밑 인사보다 억지와 원망, 부정과 저주가 일상화한 느낌이다.

“갑이 을에게 심수(深讐)가 있어 이를 갚으려 하면 힘이 부족하고 그만두려 하면 마음이 불허하는지라, 이에 그의 화상을 향하여 눈도 빼어 보며, 그 목도 베어 보고, 혹 을의 이름을 불러 ‘염병에 죽어라, 괴질에 죽어라, 벼락에 죽어라, 급살에 죽어라!’ 하는 등의 저주다. 얼른 생각하면 백 년의 저주가 저의 일발(一髮)을 손(損)하지 못할 듯하지만, 1인 2인 … 100인 1000인의 저주를 받는 자이면 불과 몇 년에 불그을음이 그 지붕 위에 올라가며 …. 거룩하다 저주의 힘이여, 약자의 유일 무기가 아니냐?”

단재 선생(금전·철포·저주)이 일제 초기, 돈과 총칼에 눌려 누구 하나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는 현실을 한탄한 글귀다. 그 약자의 ‘유일 무기’가 요즘엔 힘센자와 집단, 가진자와 못가진자 가리지 않고 휘두른다는 점이 유별나다. 하지만 말이 바로서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떤 말도 헛수고다. 이땅에서 좌·우는 점차 ‘친일·친미·독재’ 우익보수, ‘반일·반미·빨갱이’ 좌익진보로 갈리는 듯하다. 참된 좌·우라면 저런 가름이 못마땅할 터이다. 자주·민주·정통·내림·통일은 어느 편일까?

어려운 세밑에 말이라도 제대로 세워 무작하고 겉도는 짓을 삼감으로써 두루 마음 덜 다치게 했으면 좋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38
1940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60
1939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60
1938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62
1937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62
1936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4
1935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64
1934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71
1933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78
1932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182
1931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82
1930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86
1929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94
1928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198
192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0
1926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0
1925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03
1924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204
1923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05
1922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15
1921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16
1920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18
1919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