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0

세밑

조회 수 573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밑

언어예절

신령을 밝히던 은밀한 촛불이 겨울 거리에서도 꺼지지 않는다. 흥청거림이 잦아든 대신 오가는 말속엔 세밑 인사보다 억지와 원망, 부정과 저주가 일상화한 느낌이다.

“갑이 을에게 심수(深讐)가 있어 이를 갚으려 하면 힘이 부족하고 그만두려 하면 마음이 불허하는지라, 이에 그의 화상을 향하여 눈도 빼어 보며, 그 목도 베어 보고, 혹 을의 이름을 불러 ‘염병에 죽어라, 괴질에 죽어라, 벼락에 죽어라, 급살에 죽어라!’ 하는 등의 저주다. 얼른 생각하면 백 년의 저주가 저의 일발(一髮)을 손(損)하지 못할 듯하지만, 1인 2인 … 100인 1000인의 저주를 받는 자이면 불과 몇 년에 불그을음이 그 지붕 위에 올라가며 …. 거룩하다 저주의 힘이여, 약자의 유일 무기가 아니냐?”

단재 선생(금전·철포·저주)이 일제 초기, 돈과 총칼에 눌려 누구 하나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는 현실을 한탄한 글귀다. 그 약자의 ‘유일 무기’가 요즘엔 힘센자와 집단, 가진자와 못가진자 가리지 않고 휘두른다는 점이 유별나다. 하지만 말이 바로서지 못한 상태에서는 어떤 말도 헛수고다. 이땅에서 좌·우는 점차 ‘친일·친미·독재’ 우익보수, ‘반일·반미·빨갱이’ 좌익진보로 갈리는 듯하다. 참된 좌·우라면 저런 가름이 못마땅할 터이다. 자주·민주·정통·내림·통일은 어느 편일까?

어려운 세밑에 말이라도 제대로 세워 무작하고 겉도는 짓을 삼감으로써 두루 마음 덜 다치게 했으면 좋겠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4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9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20
2842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27
2841 늦깎이 風磬 2006.11.06 6130
2840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38
2839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39
2838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49
2837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49
2836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50
2835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52
2834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52
2833 마도로스 바람의종 2009.08.29 6153
2832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2831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64
2830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67
2829 그르이께 어짤랑교? 바람의종 2010.03.02 6168
2828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172
2827 나어 집! 바람의종 2008.10.29 6174
2826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178
2825 저 같은 경우는? 바람의종 2008.03.19 6185
2824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89
2823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190
2822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90
2821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