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47

해오라기

조회 수 840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

짐승이름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난 까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조이 씻은 몸 더럽힐까 하노라”(백로가)

포은 정몽주 선생의 어머니께서 아들을 백로에 비기고 상대 무리를 까마귀에 비겼다. 썩 풍자적이다. 포은을 기리고자 세운 영천 임고서원, 오백년 넘은 은행나무는 잎은 다 졌으나 드높은 기상은 예나 다르지 않다. 해오라기에는 알락해오라기와 덤불백로가 있다. 앞엣것은 황갈색 해오라기를 모두 이르고, 뒤엣것은 주로 미주 지역에 사는 텃새로 작은 해오라기를 두루 이른다.

‘백로’는 우리말로 ‘해오라기’다. 경상도 말로는 ‘해오라비’다. 백로의 백(白)과 해오라기의 ‘해’는 같다. ‘해맑다-해끔하다-해사하다-해쓱하다-해말쑥하다-해반드르르하다 …’에서 ‘해’는 분명 희다는 뜻을 알맹이로 한다.

그럼 ‘오라기’는 무엇인가? 더러 해오라기를 ‘해오리’라고도 부른다. 아주 시사적이다. ‘오리’의 짜임은 ‘올+이’로서 오리(鴨)와 같은 말로 보면 좋을 것이다. 물 위에 떠다니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때로는 하늘 높이 날아 고고한 자태를 드러낸다. 옛말로는 ‘하야로비’(鷺·훈몽자회), ‘하야루비’(백련초해), ‘해오리’(청구영언)다. 이 가운데 가장 해오라기와 가까워 보이는 게 ‘해오리’로, 준말로 다루기도 한다. 세밑을 맞아 겉 희고 속 검은 일은 없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65
1896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75
189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72
1894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71
1893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70
1892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891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64
1890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64
1889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1
1888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56
1887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1886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51
188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1
1884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49
1883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1882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41
1881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36
188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1
187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1
1878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1877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8
1876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27
1875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