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47

해오라기

조회 수 840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

짐승이름

“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난 까마귀 흰빛을 새오나니/ 창파에 조이 씻은 몸 더럽힐까 하노라”(백로가)

포은 정몽주 선생의 어머니께서 아들을 백로에 비기고 상대 무리를 까마귀에 비겼다. 썩 풍자적이다. 포은을 기리고자 세운 영천 임고서원, 오백년 넘은 은행나무는 잎은 다 졌으나 드높은 기상은 예나 다르지 않다. 해오라기에는 알락해오라기와 덤불백로가 있다. 앞엣것은 황갈색 해오라기를 모두 이르고, 뒤엣것은 주로 미주 지역에 사는 텃새로 작은 해오라기를 두루 이른다.

‘백로’는 우리말로 ‘해오라기’다. 경상도 말로는 ‘해오라비’다. 백로의 백(白)과 해오라기의 ‘해’는 같다. ‘해맑다-해끔하다-해사하다-해쓱하다-해말쑥하다-해반드르르하다 …’에서 ‘해’는 분명 희다는 뜻을 알맹이로 한다.

그럼 ‘오라기’는 무엇인가? 더러 해오라기를 ‘해오리’라고도 부른다. 아주 시사적이다. ‘오리’의 짜임은 ‘올+이’로서 오리(鴨)와 같은 말로 보면 좋을 것이다. 물 위에 떠다니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때로는 하늘 높이 날아 고고한 자태를 드러낸다. 옛말로는 ‘하야로비’(鷺·훈몽자회), ‘하야루비’(백련초해), ‘해오리’(청구영언)다. 이 가운데 가장 해오라기와 가까워 보이는 게 ‘해오리’로, 준말로 다루기도 한다. 세밑을 맞아 겉 희고 속 검은 일은 없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35
2842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25
2841 그대 있음에 바람의종 2009.02.20 8106
2840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27
2839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20
2838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41
2837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69
2836 그러잖아도는 동작, 그렇잖아도는 상태 바람의종 2010.01.22 10695
2835 그런 식으로 / 그런식으로 바람의종 2012.09.25 13692
2834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79
2833 그르이께 어짤랑교? 바람의종 2010.03.02 6158
2832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14
2831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01
2830 그리고는, 그러고는 /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7.05 15374
2829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126
2828 그림의 떡, 그림에 떡 바람의종 2012.09.13 17284
2827 그만한 / 그만 한, 한걸음 / 한 걸음, 그만해야지 / 그만 해야지 바람의종 2010.01.22 11230
2826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11
2825 그슬리다, 그을리다 바람의종 2009.02.18 11071
2824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9980
2823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893
2822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20
2821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