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5 17:55

검어솔이

조회 수 699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검어솔이

사람이름

숙종 5년(1679년) 9월 열나흗날, 병조에서 올린 글을 들고 구음(具?)이 임금께 아뢰었다. “어제 단봉문을 지키던 군사들이 문을 잠그지 않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게다가 황옥생은 순선을, 유태립은 자순, 조호업은 ‘놈이’, 이상흥은 ‘검어솔이’(檢於松)를 대신 번을 세웠습니다. 모두 달아났으니 잡아와야 합니다. 하나는 제대로 직숙도 않았습니다. 이들을 추문한 뒤 관청의 사목에 따라 멀리 유배를 보내소서.” 조선 때 자신의 업무를 다른 이에게 맡기는 것을 대립(代立)이라고 했으니 흔했던 일 같다.

‘검어솔이’는 달리 ‘黔於松’으로도 적은 것을 보면 ‘검어’는 검다는 뜻인 듯하다. ‘검어솔’은 무엇일까? 바닷가에 자라는 해송(흑송)은 고장에 따라 ‘곰솔/검솔’로 부르기도 한다. ‘검어솔’은 바로 ‘검솔/곰솔’을 이르는 듯하다. ‘검어솔이’와 비슷한 이름에 ‘거마솔이’도 있다. 이름 밑말에 ‘거마’도 쓰인다. 무슨 뜻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검다’는 말과 잇닿은 듯하다. 이름에 ‘거마/거마이/거매·거마대·거마돌이·거마지’도 보인다. 더불어 ‘거모/검오·거모토이’도 있다. 야인이름 ‘거마투리’는 ‘거마’와 ‘토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거센 바닷바람 맞고 사는 곰솔은 소나무보다 잎이 억세며 속심이 까맣고(흑송), 다른 식물이 꺼리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018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549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282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368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774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33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15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388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387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06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37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501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18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36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7863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099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773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450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24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11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296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269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5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