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5 17:55

검어솔이

조회 수 6992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검어솔이

사람이름

숙종 5년(1679년) 9월 열나흗날, 병조에서 올린 글을 들고 구음(具?)이 임금께 아뢰었다. “어제 단봉문을 지키던 군사들이 문을 잠그지 않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게다가 황옥생은 순선을, 유태립은 자순, 조호업은 ‘놈이’, 이상흥은 ‘검어솔이’(檢於松)를 대신 번을 세웠습니다. 모두 달아났으니 잡아와야 합니다. 하나는 제대로 직숙도 않았습니다. 이들을 추문한 뒤 관청의 사목에 따라 멀리 유배를 보내소서.” 조선 때 자신의 업무를 다른 이에게 맡기는 것을 대립(代立)이라고 했으니 흔했던 일 같다.

‘검어솔이’는 달리 ‘黔於松’으로도 적은 것을 보면 ‘검어’는 검다는 뜻인 듯하다. ‘검어솔’은 무엇일까? 바닷가에 자라는 해송(흑송)은 고장에 따라 ‘곰솔/검솔’로 부르기도 한다. ‘검어솔’은 바로 ‘검솔/곰솔’을 이르는 듯하다. ‘검어솔이’와 비슷한 이름에 ‘거마솔이’도 있다. 이름 밑말에 ‘거마’도 쓰인다. 무슨 뜻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검다’는 말과 잇닿은 듯하다. 이름에 ‘거마/거마이/거매·거마대·거마돌이·거마지’도 보인다. 더불어 ‘거모/검오·거모토이’도 있다. 야인이름 ‘거마투리’는 ‘거마’와 ‘토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거센 바닷바람 맞고 사는 곰솔은 소나무보다 잎이 억세며 속심이 까맣고(흑송), 다른 식물이 꺼리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93
1896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62
189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058
1894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57
1893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55
1892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1891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54
1890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1
1889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49
1888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49
188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48
1886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48
188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1884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39
1883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36
188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36
1881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188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28
1879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27
1878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6
187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23
1876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22
1875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