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5 17:55

검어솔이

조회 수 702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검어솔이

사람이름

숙종 5년(1679년) 9월 열나흗날, 병조에서 올린 글을 들고 구음(具?)이 임금께 아뢰었다. “어제 단봉문을 지키던 군사들이 문을 잠그지 않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게다가 황옥생은 순선을, 유태립은 자순, 조호업은 ‘놈이’, 이상흥은 ‘검어솔이’(檢於松)를 대신 번을 세웠습니다. 모두 달아났으니 잡아와야 합니다. 하나는 제대로 직숙도 않았습니다. 이들을 추문한 뒤 관청의 사목에 따라 멀리 유배를 보내소서.” 조선 때 자신의 업무를 다른 이에게 맡기는 것을 대립(代立)이라고 했으니 흔했던 일 같다.

‘검어솔이’는 달리 ‘黔於松’으로도 적은 것을 보면 ‘검어’는 검다는 뜻인 듯하다. ‘검어솔’은 무엇일까? 바닷가에 자라는 해송(흑송)은 고장에 따라 ‘곰솔/검솔’로 부르기도 한다. ‘검어솔’은 바로 ‘검솔/곰솔’을 이르는 듯하다. ‘검어솔이’와 비슷한 이름에 ‘거마솔이’도 있다. 이름 밑말에 ‘거마’도 쓰인다. 무슨 뜻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검다’는 말과 잇닿은 듯하다. 이름에 ‘거마/거마이/거매·거마대·거마돌이·거마지’도 보인다. 더불어 ‘거모/검오·거모토이’도 있다. 야인이름 ‘거마투리’는 ‘거마’와 ‘토리’가 더해진 이름이다.

거센 바닷바람 맞고 사는 곰솔은 소나무보다 잎이 억세며 속심이 까맣고(흑송), 다른 식물이 꺼리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18
1566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51
1565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56
1564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83
1563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1562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48
1561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01
1560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39
1559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02
1558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67
1557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19
1556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46
1555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17
1554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57
1553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552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23
1550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95
1549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4
1548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1547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53
1546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95
1545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