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2 03:21

묵음시롱

조회 수 635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묵음시롱

고장말

‘-음시롱, -음서/음시로’는 표준말 ‘-으면서’에 상응하는 전라말이다. 강원·경기·황해의 ‘-으면선/으면섬’, 충남·전북 북부와 평안도의 ‘-으먼서/으멘서/으민서’, 경상 ‘-으멘설랑/으민설랑’, 함경 ‘-으민서리/으멘서리’, 제주 ‘-으멍’ 들도 ‘-으면서’에 해당한다. “그럼유, 사람이 늙어가면선 자식을 바라구 사는 건디.”(분례기·방영웅) “소잘직에 골빠지고, 배곯아서 골빠지고, 묵을 것 못 묵음서 허처난게 산 것만도 서럽고도 원퉁헌디 ….”(태백산맥·조정래)

‘-으멘서/으민서, -으멘서리/으민서리, -으멘설랑/으민설랑’ 들은 ‘면>몐>멘>민’과 같은 변화를 겪은 말이다. “우리덜은 그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서 다 죽으멘서 싸웠쉐다.”(동트는 하늘 밑에서·이범선) “너그 애비가 죽으민서도, 내 자슥들은 부디 돈 많이 벌어서 ….”(농무일기·김원일) “어데서드라 가께우동 먹으멘서리 …”(백부의 달·이순) “그적새는 이 도독눔이 자기 가주 댕기던 연장을 돌게다 놓고 뚜드리민설랑 ….”(한국구비문학대계·경북편)

 표준어 ‘-으면서’에 대응하는 고장말들이 ‘-으면’과 ‘-서’ 또는 ‘-서리, -설랑’ 등이 결합한 형태라면, 제주말의 ‘-으멍’은 ‘-으면’이 바로 ‘으먼>으멍’과 같은 변화를 겪는다. “한집에 살멍 경(그렇게) 헌거, 무시거허레 따졈서?(협죽도·최현식)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60
1896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78
189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78
1894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77
1893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77
189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76
189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176
1890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62
1889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0
1888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9
1887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8
1886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885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1884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50
1883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50
1882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49
1881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7
188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44
1879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878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40
1877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876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33
1875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