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9 00:17

허롱이

조회 수 934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롱이

사람이름

인조 3년(1625년), 이성구는 사옹원(司饔院)에서 올린 말을 임금께 아뢰었다. “서강의 어부 ‘강어배추·최허롱돌·김업산·이단향·문죽사리·김더퍼리·최허롱쇠·차보롬동이’ 등이 일찍이 어려운 속사정을 털어놓기에 이곳저곳에서 세금을 거두는 일을 그만 멈추도록 사옹원에서는 공문(계)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성균관에서는 여전히 세금을 거두므로 더는 침징(위세를 부려 불법으로 거두어들임)하지 말도록 다시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였다. 사옹원은 대궐 안의 음식을 맡은 부서다. <승정원일기>를 보면 강어배추에서 ‘어배추’(於倍秋)를 ‘업배추’(業陪秋)로도 적었다.

여기 나온 어부 이름 가운데 ‘허롱돌·허롱쇠’가 있다. ‘허롱’(許弄)이 든 이름에 ‘허롱이·허롱개·허롱손이·허롱졍이’도 있고, 비슷한 이름에 ‘허룡이’도 있다. 요즘 말에 ‘허룽댄다/허룽거린다’는 말이 있다. 말이나 행동을 다부지게 하지 못하고 실없이 자꾸 가볍고 들뜨게 한다는 뜻이다. 요즘엔 허룽댄다는 말보다 ‘해롱댄다·해롱거린다’로 더 쓴다. ‘허룽허룽’은 그런 모습을 이르는 어찌씨다.

요즘 모든 분야에서 살림살이가 무척 어렵다고들 한다. 서로 아옹다옹하느라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할 때가 적잖다. 더 누려온 이들이 자신의 이익만 챙기지 말고 공통선을 위해 역사의 수레바퀴를 함께 굴리려 한다면 허룽댈 일도 적어질 터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43
1566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00
1565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27
1564 늘상, 노상, 천상, 천생 바람의종 2009.11.03 14082
1563 께, 쯤, 가량, 무렵, 경 바람의종 2009.11.03 12139
1562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60
1561 무크(지) 바람의종 2009.11.08 7527
1560 독수리 바람의종 2009.11.08 11021
1559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801
1558 그러기(그렇기) 때문에 바람의종 2009.11.08 12564
1557 뒷자석, 뒤 자석, 뒷번호, 뒤 번호 바람의종 2009.11.08 11099
1556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86
1555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48
1554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82
1553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28
1552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51
1551 눈사리 바람의종 2009.11.10 9594
1550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89
1549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1548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74
1547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67
1546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60
1545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