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9 00:17

허롱이

조회 수 92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롱이

사람이름

인조 3년(1625년), 이성구는 사옹원(司饔院)에서 올린 말을 임금께 아뢰었다. “서강의 어부 ‘강어배추·최허롱돌·김업산·이단향·문죽사리·김더퍼리·최허롱쇠·차보롬동이’ 등이 일찍이 어려운 속사정을 털어놓기에 이곳저곳에서 세금을 거두는 일을 그만 멈추도록 사옹원에서는 공문(계)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성균관에서는 여전히 세금을 거두므로 더는 침징(위세를 부려 불법으로 거두어들임)하지 말도록 다시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였다. 사옹원은 대궐 안의 음식을 맡은 부서다. <승정원일기>를 보면 강어배추에서 ‘어배추’(於倍秋)를 ‘업배추’(業陪秋)로도 적었다.

여기 나온 어부 이름 가운데 ‘허롱돌·허롱쇠’가 있다. ‘허롱’(許弄)이 든 이름에 ‘허롱이·허롱개·허롱손이·허롱졍이’도 있고, 비슷한 이름에 ‘허룡이’도 있다. 요즘 말에 ‘허룽댄다/허룽거린다’는 말이 있다. 말이나 행동을 다부지게 하지 못하고 실없이 자꾸 가볍고 들뜨게 한다는 뜻이다. 요즘엔 허룽댄다는 말보다 ‘해롱댄다·해롱거린다’로 더 쓴다. ‘허룽허룽’은 그런 모습을 이르는 어찌씨다.

요즘 모든 분야에서 살림살이가 무척 어렵다고들 한다. 서로 아옹다옹하느라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할 때가 적잖다. 더 누려온 이들이 자신의 이익만 챙기지 말고 공통선을 위해 역사의 수레바퀴를 함께 굴리려 한다면 허룽댈 일도 적어질 터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4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044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74
»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11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178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84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7994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73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26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25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40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28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6999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42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72
18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43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392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15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489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24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78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791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0981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