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9 00:17

허롱이

조회 수 932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롱이

사람이름

인조 3년(1625년), 이성구는 사옹원(司饔院)에서 올린 말을 임금께 아뢰었다. “서강의 어부 ‘강어배추·최허롱돌·김업산·이단향·문죽사리·김더퍼리·최허롱쇠·차보롬동이’ 등이 일찍이 어려운 속사정을 털어놓기에 이곳저곳에서 세금을 거두는 일을 그만 멈추도록 사옹원에서는 공문(계)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성균관에서는 여전히 세금을 거두므로 더는 침징(위세를 부려 불법으로 거두어들임)하지 말도록 다시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였다. 사옹원은 대궐 안의 음식을 맡은 부서다. <승정원일기>를 보면 강어배추에서 ‘어배추’(於倍秋)를 ‘업배추’(業陪秋)로도 적었다.

여기 나온 어부 이름 가운데 ‘허롱돌·허롱쇠’가 있다. ‘허롱’(許弄)이 든 이름에 ‘허롱이·허롱개·허롱손이·허롱졍이’도 있고, 비슷한 이름에 ‘허룡이’도 있다. 요즘 말에 ‘허룽댄다/허룽거린다’는 말이 있다. 말이나 행동을 다부지게 하지 못하고 실없이 자꾸 가볍고 들뜨게 한다는 뜻이다. 요즘엔 허룽댄다는 말보다 ‘해롱댄다·해롱거린다’로 더 쓴다. ‘허룽허룽’은 그런 모습을 이르는 어찌씨다.

요즘 모든 분야에서 살림살이가 무척 어렵다고들 한다. 서로 아옹다옹하느라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할 때가 적잖다. 더 누려온 이들이 자신의 이익만 챙기지 말고 공통선을 위해 역사의 수레바퀴를 함께 굴리려 한다면 허룽댈 일도 적어질 터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0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97
2842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09
2841 대중, 민중, 군중 바람의종 2012.01.08 11364
2840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07
2839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5970
2838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1
2837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30
2836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30
2835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95
283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24
283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52
2832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5
2831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13
2830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376
2829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14
2828 꺼려하다, 꺼리다 바람의종 2011.12.27 11539
2827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22
2826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32
2825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74
2824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01
2823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50
2822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50
2821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