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9 00:16

먹지 말앙

조회 수 686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지 말앙

고장말

‘-앙’은 표준말 ‘-고서’에 해당하는 제주말로, 한 사실이 뒤에 생긴 일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 “어머님 공 못 갚앙 저승 가는 불효식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앙’은 ‘-어서’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놈들이 다 물러가면 우리대로 잘 살곡 마음대로 해산물도 잡앙 팔곡 헐 수 있는 거 아닙니까.”(<껍질과 속살> 현길언)

‘-앙’의 또다른 형태는 ‘-어근’과 ‘-엉근’이다. ‘-엉근’은 ‘-엉’에 ‘-근’이 합친 말로, ‘-근’은 표준어 ‘-서’에 대응하는 제주말 ‘-근에’의 ‘근’과 같은 것으로 보인다. ‘-어근’은 ‘-엉근’의 ‘ㅇ’이 떨어져 생긴 말이다. “할마님이랑 받다 남은 거 웃제반(제사상에 올린 각 제물을 처음 조금씩 걷어 모으는 일) 걷어근 동이용궁 아방국데레 모도 지울리곡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에는 ‘-고서’ 형태가 쓰이지 않는다. 이는 표준어 ‘-고’와 대응하는 제주말 ‘-곡’이 둘 이상의 사실을 단순히 늘어놓는(물이 맑고 차다.) 구실만 하기에 ‘-곡’과 ‘-서’가 합친 ‘-곡서’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기 어려운 탓으로 보인다.

표준말 ‘-고서’의 다른 고장말은 ‘-구서’다. ‘-구서’는 전라·경상·제주를 뺀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인다. “영감 죽구서 무엇 맛보기 첨이라더니!”(<태평천하> 채만식) “사람이 살구서 볼 일이지.”(<등대> 리북명·북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1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702
1896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62
189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058
1894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057
1893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55
1892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4
1891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54
1890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1
1889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49
1888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49
1887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48
1886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48
188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4
1884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39
1883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36
188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36
1881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0
188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28
1879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27
1878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26
187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23
1876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022
1875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