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9 00:16

먹지 말앙

조회 수 688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먹지 말앙

고장말

‘-앙’은 표준말 ‘-고서’에 해당하는 제주말로, 한 사실이 뒤에 생긴 일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 “어머님 공 못 갚앙 저승 가는 불효식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앙’은 ‘-어서’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놈들이 다 물러가면 우리대로 잘 살곡 마음대로 해산물도 잡앙 팔곡 헐 수 있는 거 아닙니까.”(<껍질과 속살> 현길언)

‘-앙’의 또다른 형태는 ‘-어근’과 ‘-엉근’이다. ‘-엉근’은 ‘-엉’에 ‘-근’이 합친 말로, ‘-근’은 표준어 ‘-서’에 대응하는 제주말 ‘-근에’의 ‘근’과 같은 것으로 보인다. ‘-어근’은 ‘-엉근’의 ‘ㅇ’이 떨어져 생긴 말이다. “할마님이랑 받다 남은 거 웃제반(제사상에 올린 각 제물을 처음 조금씩 걷어 모으는 일) 걷어근 동이용궁 아방국데레 모도 지울리곡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에는 ‘-고서’ 형태가 쓰이지 않는다. 이는 표준어 ‘-고’와 대응하는 제주말 ‘-곡’이 둘 이상의 사실을 단순히 늘어놓는(물이 맑고 차다.) 구실만 하기에 ‘-곡’과 ‘-서’가 합친 ‘-곡서’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기 어려운 탓으로 보인다.

표준말 ‘-고서’의 다른 고장말은 ‘-구서’다. ‘-구서’는 전라·경상·제주를 뺀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인다. “영감 죽구서 무엇 맛보기 첨이라더니!”(<태평천하> 채만식) “사람이 살구서 볼 일이지.”(<등대> 리북명·북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62
213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86
213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81
213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13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2134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2133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40
2132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43
2131 바람의종 2009.05.06 7834
2130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63
212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36
212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53
2127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4
21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125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7
»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4
212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18
2122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2121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28
2120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596
2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61
211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0
211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