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3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6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64
1918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78
1917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69
1916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66
1915 오랑캐 風磬 2007.01.19 9160
1914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157
1913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51
1912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1911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48
1910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47
1909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44
1908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42
190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32
1906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31
1905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29
190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26
1903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23
1902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18
1901 바람의종 2007.09.22 9117
1900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14
1899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1898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3
1897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