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5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8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93
2842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431
2841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326
2840 입에 발린 소리 바람의종 2008.01.28 17664
2839 입추의 여지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8 13976
2838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895
2837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342
2836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7135
2835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922
2834 장사진을 치다 바람의종 2008.01.29 10238
2833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905
2832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99
2831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2118
2830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729
2829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573
2828 직성이 풀리다 바람의종 2008.01.30 15077
2827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591
2826 짬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30 14254
2825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461
2824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687
2823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473
2822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655
2821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7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