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0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6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2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080
616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12
615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878
614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46
613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37
612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739
611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50
610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09
609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328
608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32
607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6984
606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21
605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26
604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61
603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7964
602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162
601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39
600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566
599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545
» 바람의종 2009.05.06 7802
597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282
596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41
595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7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