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5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64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033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4996
    read more
  4. 비둘기

    Date2009.04.14 By바람의종 Views6184
    Read More
  5. 험담

    Date2009.04.30 By바람의종 Views6843
    Read More
  6. 디려놓곡 내여놓곡

    Date2009.04.30 By바람의종 Views5703
    Read More
  7. 닥달하다, 원활

    Date2009.04.30 By바람의종 Views8689
    Read More
  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Date2009.04.30 By바람의종 Views9404
    Read More
  9. 똥금이

    Date2009.05.01 By바람의종 Views6630
    Read More
  10. 파스

    Date2009.05.01 By바람의종 Views13096
    Read More
  11.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Date2009.05.01 By바람의종 Views15741
    Read More
  12.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Date2009.05.01 By바람의종 Views14733
    Read More
  13. 따오기

    Date2009.05.02 By바람의종 Views8182
    Read More
  14. 한테·더러

    Date2009.05.02 By바람의종 Views9033
    Read More
  15. 벌써, 벌써부터

    Date2009.05.02 By바람의종 Views6196
    Read More
  16. 삼촌, 서방님, 동서

    Date2009.05.02 By바람의종 Views11163
    Read More
  17. 죽으깨미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7705
    Read More
  18. 수구리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7364
    Read More
  19. 깃들다, 깃들이다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9744
    Read More
  20.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9198
    Read More
  21. Date2009.05.06 By바람의종 Views7852
    Read More
  22. 갈매기

    Date2009.05.06 By바람의종 Views6751
    Read More
  23. 말 목숨

    Date2009.05.06 By바람의종 Views4662
    Read More
  24. 승부욕

    Date2009.05.06 By바람의종 Views8213
    Read More
  25. 이용과 사용

    Date2009.05.06 By바람의종 Views1007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