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4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2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68
1544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00
1543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0
1542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77
1541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3
1540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49
1539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8
1538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29
1537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99
» 바람의종 2009.05.06 7848
153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9
153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153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0
1532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8
1531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29
1530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66
1529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28
1528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1527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88
1526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98
1525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95
1524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5
1523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