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3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73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32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2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28
» 바람의종 2009.05.06 7834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6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587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77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33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04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87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30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25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08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47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25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24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1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68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71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1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