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43

조회 수 785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

옛날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과 먹물을 빼놓을 수 없었다. 먹물은 벼루에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만드는데, 먹은 나무를 태울 때 연기에서 생기는 검댕(그을음)을 모아 아교를 녹인 물에 푼 다음 굳혀 만든다.

먹은 중국 유물로 미루어 은나라 때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당시는 지금과 같은 굳힌 먹이 아니라 목탄이나 석묵(石墨)을 물에 녹인 것 또는 주약(朱藥)을 썼고, 당나라에 들어서는 칠묵(漆墨)으로 글씨를 썼다고 전한다.

굳힌 먹의 시초는 소나무 연기 검댕으로 만드는 ‘송연묵’인데 한나라 적 유물이 나오며, 동이의 사신으로부터 황제가 선물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만약 ‘동이’가 배달겨레를 가리킨 것이라면 우리 조상이 동양 서예 문화에 크게 이바지한 셈이다. 요새 말로 하면 당시의 명품이었던 송연묵은 삼국 시대 주요 수출품이었다. 명나라 때 명품 먹 생산국 지위를 빼앗겼고, 지금 먹 만드는 이(묵공)도 거의 없어져서 먹 생산은 서너 곳에서 명맥을 이어간다.

‘먹’은 우리 토박이말이 아니라 차용어로 본다. 곧, 현대 중국어 ‘墨’에 해당하는 예전의 중국말이 유입되었고, 15세기 문헌에 이미 현대 우리말과 같은 ‘먹’으로 등장한다. 한자어 ‘묵’은 당나라 때 소리를 받아들인 결과로 보이며, 그 결과 우리 한자로는 ‘묵’, 어원 의식이 없는 말로서는 ‘먹’으로 존재하고 있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53
2094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50
2093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53
2092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53
2091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953
2090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54
2089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959
2088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60
2087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60
2086 늦깎이 바람의종 2010.10.11 7960
2085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62
2084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64
2083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66
2082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68
2081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71
2080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5
207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77
2078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82
2077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83
2076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89
2075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92
2074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7
207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80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