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4 16:47

죽으깨미

조회 수 768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죽으깨미

고장말

‘-으깨미’는 표준어의 ‘-을까 봐’에 해당하는 고장말로, 주로 충청·전라 쪽에서 쓰이는 말이다. “아따, 돈 쓸 데 없으깨미 뼈다구도 사야 하고 …”(<샛강> 이정환) “미운털 백혀서 명대로 못 살깨미 잠도 안 온다.”(<완장> 윤흥길) “우리 할아버지가 저승이서는 혼자 죽으깨미서는 오던 질 도루 가지 말라구 했는디 …”(<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으깨미’의 다른 꼴은 ‘-으까마, -으까미’인데, 이들은 ‘-을까 봐’가 ‘-으까 봐>-으까 바>-으까마>-으까미>-으깨미’와 같은 변화를 겪어 하나의 말처럼 굳어진 것이다. ‘-으까미>-으깨미’는 ‘학교’를 ‘핵교’, ‘호랑이’를 ‘호랭이’라 하는 것과 같다. “내가 모냐 가까마 지가 압장을 스드라고.” “하니나 네가 잡으까미 언능 네삐드라.”(<전남방언사전>)

또한 ‘-으까마’에 ‘-니’가 결합된 ‘-으까마니’는 전남에서만 보이는 말이다. “내가 진역 살리고 벌받게 하까마니 그케 우냐고 그람서 꺽쩡 말라고 했제.”(위 책) ‘-으까마니’가 전남에만 있는 반면, ‘-으까마니’의 ‘ㅏ’가 탈락하여 만들어진 ‘-으깜니’는 충청·전라 두루 발견된다. “막 눈만 흘겨도 찢어지게 생긴 도포를 찢어지깜니 살살 어트게어트게 입었어.”(<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애덜 눈깔 찔르깜니 고려장하러 가는 할머니가 막대기를 끊어 쌌더란다.”(위 책, 충남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8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3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284
154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27
1543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27
1542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6
1541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540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42
1539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43
153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4
1537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0
1536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54
1535 바람의종 2007.09.22 9155
1534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57
1533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58
1532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9
153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53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62
1529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64
1528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69
1527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71
1526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72
1525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73
152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523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