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2 22:29

따오기

조회 수 815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따오기

짐승이름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어머니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그 따오기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련한 노래의 추억만 남겨 놓고? 잃어버린 나라와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달랠 길 없는 고단한 이들의 마음 호수에 돌을 던지는 파문을 일으킬 법하다. 청원 오창에 가면 따오기재(鶩嶺)가 고개 이름으로 남아 있다.

한정동의 가사에 윤극영 선생이 빼앗긴 나라에 대한 애타는 안타까움을 바탕으로 지은 노래다. 조선 사람들의 정서를 드러낸다. 내용이 불온하다며 부르지 못하게 하였다가 광복과 함께 되살아 났다. 애절한 목소리로 조용필이 따오기의 대중화에 불을 지피고, 양희은과 한영애도 애틋한 마음을 노래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국민 동요가 되었다. ‘눈물 젖은 두만강’이나 같다. 사랑하는 부모형제를 이별하고 눈보라 몰아치는 만주와 사할린, 하와이 등지로 쫓기듯 떠나갔던, 솟구치는 그리움을 목놓아 불렀던 노래요, 절규였다. 정작 따오기는 날아가 버린 지 오래. 따오기에 대한 아련한 유년의 추억만이 노래로 남아 있음을 어찌하랴.

<동언고략>(1908·정교 엮음)에서는 기발하게도 ‘다옥’을 단복(丹腹)에다 끌어댔으나 엉뚱하다. 옛말로는 ‘다와기’ 혹은 ‘다옥이’였다. 다른 새들 이름에서도 그러하듯 울음소리를 흉내 내어 붙인 것이 많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59
1148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37
1147 딴전보다, -피우다, -부리다 바람의종 2008.01.03 8809
1146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2
1145 딴따라 바람의종 2010.08.25 13012
1144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286
114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83
1142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979
»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8
1140 따블 백 바람의종 2009.07.14 8055
1139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713
1138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75
1137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6
1136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51
1135 딛었다, 디뎠다 바람의종 2008.09.24 8905
1134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28
1133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29
1132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1131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33
1130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81
1129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2
1128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062
1127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