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2 22:29

따오기

조회 수 817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따오기

짐승이름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어머니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그 따오기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련한 노래의 추억만 남겨 놓고? 잃어버린 나라와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달랠 길 없는 고단한 이들의 마음 호수에 돌을 던지는 파문을 일으킬 법하다. 청원 오창에 가면 따오기재(鶩嶺)가 고개 이름으로 남아 있다.

한정동의 가사에 윤극영 선생이 빼앗긴 나라에 대한 애타는 안타까움을 바탕으로 지은 노래다. 조선 사람들의 정서를 드러낸다. 내용이 불온하다며 부르지 못하게 하였다가 광복과 함께 되살아 났다. 애절한 목소리로 조용필이 따오기의 대중화에 불을 지피고, 양희은과 한영애도 애틋한 마음을 노래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국민 동요가 되었다. ‘눈물 젖은 두만강’이나 같다. 사랑하는 부모형제를 이별하고 눈보라 몰아치는 만주와 사할린, 하와이 등지로 쫓기듯 떠나갔던, 솟구치는 그리움을 목놓아 불렀던 노래요, 절규였다. 정작 따오기는 날아가 버린 지 오래. 따오기에 대한 아련한 유년의 추억만이 노래로 남아 있음을 어찌하랴.

<동언고략>(1908·정교 엮음)에서는 기발하게도 ‘다옥’을 단복(丹腹)에다 끌어댔으나 엉뚱하다. 옛말로는 ‘다와기’ 혹은 ‘다옥이’였다. 다른 새들 이름에서도 그러하듯 울음소리를 흉내 내어 붙인 것이 많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33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8174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1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220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66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34
2859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963
2858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69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91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391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68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700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3094
2852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28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254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42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10043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8090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74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46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5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9018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