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2 22:29

따오기

조회 수 817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따오기

짐승이름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어머니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그 따오기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련한 노래의 추억만 남겨 놓고? 잃어버린 나라와 임에 대한 그리움으로 달랠 길 없는 고단한 이들의 마음 호수에 돌을 던지는 파문을 일으킬 법하다. 청원 오창에 가면 따오기재(鶩嶺)가 고개 이름으로 남아 있다.

한정동의 가사에 윤극영 선생이 빼앗긴 나라에 대한 애타는 안타까움을 바탕으로 지은 노래다. 조선 사람들의 정서를 드러낸다. 내용이 불온하다며 부르지 못하게 하였다가 광복과 함께 되살아 났다. 애절한 목소리로 조용필이 따오기의 대중화에 불을 지피고, 양희은과 한영애도 애틋한 마음을 노래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국민 동요가 되었다. ‘눈물 젖은 두만강’이나 같다. 사랑하는 부모형제를 이별하고 눈보라 몰아치는 만주와 사할린, 하와이 등지로 쫓기듯 떠나갔던, 솟구치는 그리움을 목놓아 불렀던 노래요, 절규였다. 정작 따오기는 날아가 버린 지 오래. 따오기에 대한 아련한 유년의 추억만이 노래로 남아 있음을 어찌하랴.

<동언고략>(1908·정교 엮음)에서는 기발하게도 ‘다옥’을 단복(丹腹)에다 끌어댔으나 엉뚱하다. 옛말로는 ‘다와기’ 혹은 ‘다옥이’였다. 다른 새들 이름에서도 그러하듯 울음소리를 흉내 내어 붙인 것이 많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14
286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63
286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394
286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18
2861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57
2860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23
2859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73
2858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72
2857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529
2856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78
2855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9
2854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69
2853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819
2852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55
28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1
285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86
2849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54
284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65
284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926
284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8
284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66
2844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66
2843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