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30 22:33

디려놓곡 내여놓곡

조회 수 568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디려놓곡 내여놓곡

고장말

‘-곡’은 표준어 ‘-고’에 대응하는 제주말이다. ‘-고’는 주로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거나(물이 맑고 차다), 어떤 한 사실이 후에 일어난 사실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말이다.(비가 오고 날씨가 추워졌다) 그런데 제주말에서는 앞쪽의 뜻으로만 ‘-곡’이 쓰인다는 점이 표준어의 ‘-고’와는 다르다. “그놈들이 다 물러가면 우리대로 잘 살곡 마음대로 해산물도 잡앙 팔곡 헐 수 있는 거 아닙니까.”(<껍질과 속살> 현길언) “너의덜 말을 들어서 오라민 오곡 가라민 갈 것이냐!”(<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 ‘-곡’은 이미 500여 년 전인 15세기에서부터 쓰이던 말로, 현대에 와서는 오로지 제주 지역에서만 살아남은 고장말이 되어버렸다. 15세기 당시 ‘-곡’은 ‘-고’를 강조하여 말할 때 쓰는 말이었다고 한다. “어마니미 니D샤Q 너희 出家N거든 날 F리곡 머리 가디 말라.”(<석보상절>)

표준어 ‘-고’에 대응하는 또다른 고장말은 ‘-구’이다. ‘-구’는 ‘-고>구’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인데, ‘-고>구’의 변화는 ‘삼촌’을 ‘삼춘’, ‘고모’를 ‘고무’라고 발음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구’는 제주도와 경상도, 전라도(전북의 전주 이북 지역 제외)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처먹어라 … 너 생각허구서 배 고푼 것두 안 먹구 애꼈다가 갖구 왔다!”(<쑥국새> 채만식) “간밤에는 집을 비여놓구 친구허구 색주가엘 가서 술 먹구 기집 끼구 놀구 그랬으니까 …”(<속 천변풍경> 박태원)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81
154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23
1543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27
1542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36
1541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39
1540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39
1539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1
153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44
1537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49
153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50
1535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55
1534 바람의종 2007.09.22 9155
1533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157
1532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59
1531 보어 바람의종 2010.02.21 9161
153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162
1529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62
1528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164
1527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69
1526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69
1525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70
1524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74
1523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57 Next
/ 157